Experiences/Amazon Web Service

Free DNS를 통해 EC2 서버 쉽게 접속하기!

프로그래머 2015. 4. 24. 01:45

지난 번 EC2 서버를 만들었는데, 그때 접속하기 위해서는 접속 아이피를 기억하고 접속해야하는 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.

여기서는 Free DNS라는 사이트를 통해 xxxx.mooo.com의 형태로 DNS(도메인 네임 시스템)을 등록하여 좀 더 쉽게 접속해보려고 합니다.


먼저 DNSDDNS가 무슨 용어이고, 무슨 차이인가를 살펴보겠습니다.

DNS는 "도메인 이름 시스템(Domain Name System)"을 의미하는데, 웹에서는 도메인을 정리하고 확인하는 전화번호부 같은 역할을 담당합니다.

우리가 어떤 가게 이름을 알고 있으면 그 가게의 이름에 대한 전화번호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처럼, 'www.google.com'과 같은 웹 주소는 DNS를 통해 '74.125.19.147'과 같이 사이트를 호스팅하는 컴퓨터의 실제 IP 주소로 변환되어 접속됩니다.

출처 및 참고 사이트 : Google

DDNS는 '동적 도메인 이름 시스템(Dynamic Domain Name System)'을 의미합니다. 

DNS는 정적인 고정 IP만을 기억할 수 있는데 보통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는 유동 IP입니다.

그렇기 때문에 사실 DNS 서비스 받을 수 없는데, DDNS는 마치 유동 IP를 고정 IP를 사용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입니다.

DDNS의 자세한 내용은 밑에 출처사이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출처 및 참고 사이트 : ZoneSoft


1. 무료 DDNS를 제공하는 사이트 중에 가장 인기가 있는 http://freedns.afraid.org/ 에 접속합니다.


2. 메뉴를 클릭하면 로그인 화면이 나타납니다. 회원 가입을 하겠습니다.


3. 정보를 다 입력하면 메일 인증을 합니다. (네이버메일 같은 경우에는 인증 메일이 안 도착했습니다.)


4. 정상적으로 가입이 되고, 인증메일이 보내졌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.


5. 기입한 메일에 가서 메일 인증을 합니다.


6. 서브도메인을 등록합니다.


7. 여기서 도메인을 선택할 수 있는데요. mooo.com이 기억하기 가장 쉬울 것 같아서 선택하였습니다. 혹시나 맨 처음의 Type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explanation을 읽어보셔도 좋고, Google Support에 한글로 잘 설명되어있는 사이트로 가셔서 확인하시면 좋습니다. 




8. 원하는 도메인과 Destination에 EC2의 Public IP를 넣어야합니다. 서버를 재시작하거나, on/off를 할 경우 IP가 변경된다는 점은 고려해야합니다. (Elastic IPs를 통해 고정 IP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  하지만 서버를 사용하지 않을 시 과금이 부과되니 유의하세요!)

9. 잘 적고나서 등록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등록이 됩니다.

마지막으로 그 사이트로 접속을 해보겠습니다.

짜잔!! 켜놓았던 서버에 접속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이것으로 도메인 네임 시스템을 통하여 좀 더 간편하게 AWS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하실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.

더 좋은 방법도 있겠지만 저는 이것을 통해서 재미를 본 느낌이 있습니다 : )
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